그 필요성에 따라 웹 접근성에 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웹 접근성 관련하여 조언 및 가이드라인을 하는 곳이 몇군데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웹접근성 연구소와 한국 웹접근성 평가센터등이 있다.
1. 웹접근성 연구소(http://www.wah.or.kr/)
웹접근성의 이해 및 품질 마크, 교육/세미나, 개발 아카이브, 온라인 자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웹접근성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도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많은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웹 접근성 자동평가도구인 K-WAH 3.0 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또한 웹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웹 컨텐츠 신기술 제작 기버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웹사이트를 운영, 개발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정보를 주고 있다.
웹 프로그래머, 웹 기획자, 웹디자이너들이 자주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얻었으면 한다.
2.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http://www.kwacc.or.kr/)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장애인의 웹사이트 접근성 사용편의성에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웹 개발자와 관리자 등의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당사자 단체로서 장애인 당사자의 웹사이트 접근성 사용편의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사이트이다.
UWA(사용자 웹 접근성) 인증 마크를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에 부여하는 심사절차를 제공하며 한국정보화진흥원 제공하는 K-WAN 3.0을 제공하여 자동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웹접근성의 법이나 동향, 및 실태등을 알아 볼 수 있는 좋은 사이트이다.
이외에 다수 사이트가 존재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급속도로 보급이 되면서 웹 접근성 콘텐츠 개발은 이제 필수요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든지 가능한 웹 사이트, 장애인, 비장애인 할것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웹 사이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아직 늦지 않은 지금 여러분들이 운영하는 사이트가 웹 접근성에 우수한 사이트인지 자체 평가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 내 개인 생각임을 밝히는 바입니다.
방통위 - 제2차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0) | 2011.01.12 |
---|---|
클라우드 컴퓨팅 (0) | 2011.01.05 |
웹3.0 시대의 도래(1) (0) | 2011.01.05 |
다가오는 4G 시장!! (0) | 2011.01.05 |
2011년은 운영체제의 전쟁 (0) | 201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