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의 구성은 크게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이루어진다.
① 호스트에 대한 계층적 네임 공간(namespace) 정의
② 분산 데이터베이스로서 구현된 호스트 테이블을 정의
③ 이 데이터베이스를 질의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루틴
(BIND의 일부) 정의
④ 전자우편을 위한 개선된 라우팅 정의
⑤ naming 정보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
위의 내용들을 지금부터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하겠다.
DNS 네임공간(Namespace)
인터넷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많은 컴퓨터에 사람이 알기 쉽도록 이름을 붙인다고 생각해 보자.
무작위로 붙이면 어떨까? 그러면 아마도 원래의 목적에 부합되게, 즉 사람이
알기 쉽게 이름을 붙이는데도 실패할 것이고 또한 중복된 이름이 많이 생기게
될 것이다. 그래서 나온 방안이 이름을 계층적으로 부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이 바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DNS) 이다.
그러므로 DNS는 하나의 커다란 트리구조로 생각할 수 있는데 트리의 루트는
‘ . ’ 이고 그 밑은 최상위 단계 도메인(top level domain)이다.
이 최상위 단계 도메인은 역사적인 이유로 2개의 최상위 단계 도메인 그룹이
존재한다. 최초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이 미국에서 시작하였기에 당시 부
여한 도메인 이름은 후에 인터넷으로 발전한 후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
어 이렇게 2개 그룹이 공존하게 된 것이다.
미국에서는 com, edu, gov, mil, net, org, int, arpa 등이고 미국 밖에서는 2문
자의 ISO 국가 코드를 사용한다(au, jp, kr, ca, dk, de, fi, fr, se, hk, ch 등).
하지만 근래 들어서는 gov, mil을 제외한 다른 도메인 명은 다른 나라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워드프레스 (wordpress) 템플릿 함수 (2) | 2013.07.14 |
---|---|
애플, iOS7 베타3 버전 공개…"그리운 잡스.." (1) | 2013.07.09 |
네트워크의 하드웨어 설명, LAN (0) | 2013.07.04 |
[IT 분석] 페이스북 앱 생태계 경쟁에 뛰어드나? (0) | 2012.05.11 |
[갤럭시 070] 집전화도 스마트폰 시대.. (0) | 201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