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골칫거리 - 악성코드, 이제 해결하라. (악성코드 잘 잡는 프로그램은?)

IT분야 (IT sector)

by Sherlockhomes 2011. 1. 21. 09:32

본문

728x90
반응형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서종렬)은 국내에서 제작 유통되고 있는 206종의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지난 1월 20일 발표했다.

여기에서 주목해봐야 할 것들은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이용시 주의사항이다.

(1)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설치 전에 반드시 해당 프로그램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결제방식 및 이용약관 등을 확인하여 신뢰성 판단 가능 경우에만 설치할 것

 ※ 문제 소지가 있는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들은 설치․진단은 무료로 제공 하고 치료시 요금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약관 확인 필요하다.

(2) 오탐, 치료성능 미달 등의 문제가 있는 프로그램은 게임 등 다른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제휴 프로그램 형태로 끼워서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할 것

(3) 본인이 직접 설치하지 않은 프로그램에서 악성코드 발견 및 치료와 관련한  요금 청구 안내서가 제시되는 경우 시중에 많이 알려진 신빙성 있는 제품을 통해 재확인 하는 등 충분한 확인이 필요하다.

(4) 악성코드 탐지·치료·예방 기능이 없는 단순 점검 프로그램(PC 최적화, 임시파일 삭제, 사용 흔적 정리)은 사용자 컴퓨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5) 본인 동의 없이 요금 결제가 청구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동 이체되는 인터넷요금, 휴대전화 요금의 세부 사용내역을 잘 살펴서 피해발생에 대응 필요하다.

(6) 휴대전화 등을 통한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의  ‘휴대폰ARS결제중재센터(www.spayment.org : e-mail 접수)’를 활용할 것

(7) 설치된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이 삭제되지 않을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의   e콜센터 ☎118(국번없이 118, www.boho.or.kr)와의 상담을 통해 조치할 것

이상 7가지 주의사항을 제시했다.

컴퓨터 이용자들의 대부분은 악성코드를 제거하기 위해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하지만 공인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설치 후에 제거가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거기에 오히려 악성코드 제거프로그램이 악성코드가 되어 컴퓨터에 말썽을 많이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악성코드 주의 사항을 보고 주의 깊게 프로그램 설치를 하기 바라며, 상위 15종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설치 및 제거는 상호간의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방통위 자료 참조)

 



 

※ 추천을 꼭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추천이 저에게 힘이 됩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